우주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숲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는 산림위성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도심 한복판의 2층짜리 나무건물인데, 2022년 강원, 경북 대형산불 지역의 소나무 피해목을 활용한 국내 최초 공공목조 건축입니다. <br /> <br />[임상섭 / 산림청장 : 내년 발사 예정인 차세대 중형위성 4호인 농림위성을 통해 전 국토의 63%를 차지하는 우리 산림을 정밀하고 빠짐없이 관리할 수 있는 ….] <br /> <br />기존 위성이 한반도 전역을 촬영하는데 열흘가량 걸렸다면, 농림위성은 사흘 만에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지상 888km에 위치해 국외 위성보다 약 1.6배 넓은 120km를 한 번에 관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어디에서든 산불이 발생하면 방향을 틀어 준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, <br /> <br />기존에 수동으로 분석하던 산사태 피해지도 상시 감시를 통해 곧바로 피해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림 위성이 수집한 데이터는 이곳 산림 위성센터의 대형 스크린과 컴퓨터에 즉시 전송돼 분석에 활용됩니다. <br /> <br />재난 대응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해 개화·단풍 시기의 예측과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이상 징후 파악도 가능해집니다. <br /> <br />또, 그동안 해외 자료에 의존하던 산림 일차 생산량 등을 이제는 한반도 산림에 적합한 시공간 데이터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원명수 / 국가산림위성정보센터장 : 산림청의 최대 관심사인 산불과 산사태에 대한 산림 재난 방지와 산림 건강성, 산림 자원 모니터링을 통해서 국제사회 협력에 기여할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산림위성센터는 농림위성 자료뿐만 아니라 정밀 디지털 산림관리 체계를 구축해 우주에서 지상까지 우리나라 산림을 촘촘하게 감시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| 김정한 <br />자막뉴스 | 정의진, 안진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1009490537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